성능관련 스케일 아웃은 라우팅 전략과 관련이 있고
운영중 장비를 Down없이 스케일 늘리고 줄일수 있는 전략은 클러스터링과 연관이 있다고 볼수 잇습니다.
기술적으로 AKKA내에서 클러스터는 목표는 병목 현상이 없는 탄력적인 분산형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라고 정의 내릴수 있습니다.
AKKA에서는 다양한 라우팅 전략을 디플로이 환경설정 전략으로 최소의 코드변경만으로 적용가능합니다.
또한 이러한 전략을 적용하기 위해 운영중 장비를 Down없이 다이나믹하게 스케일아웃할수있는
클러스터로 개념으로 확장 가능합니다. AKKA의 라우팅전략은 코드설계가아닌, 설정화로 이루어내니
지원가능한 대표적인 라우팅을 설명합니다. ( 라이브러리 내에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라우팅 모델이 업데이트중에 있습니다.)
RoundRobin
단순하게 들어온 메시지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대상 노드를 바꿔가며 전송시 사용
ex>단순한 RestAPI의 성능향상및 특정 노드 장애에 대응하는 다중화구성 ( 기본적으로 Pool에 등록된 Node Crash발생시 해당노드는 해당풀에서 자동제거됨)
Broadcast
어떠한 정보의 변경을 모든 노드가 알아야할시, 주로 전체 동기화및 전체 푸시용도
ConsistentHashing
특정 처리에 대해 해시값기반 베이스로 노드의 변경의 가능성을 최소화할때
ex>
- 웹소켓 기능 보장 ( 핸드쉐이크과정에서 노드변경이되면 오동작)
- 자체캐쉬 작동 보장(성능을 위해 노드 자체에 서버 캐시처리를 하였지만, 노드변경시 서버캐시 적용못받음)
- 최초 설계에의한 제한적 분산(기능적으로 생성한 오브젝트가 예상되는 특정 노드에 있어야하는 경우등)
- SSL및 서비스 로그인 세션유지 ( 노드변경시 재인증을 받아야하는 성능이슈 )
ScatterGatherFirstCompleted
성능을 위해 다중노드로 구성하였으며, 가장 빠르게 처리한 녀석의 결과를 사용할시
ex> 1개의 빠른인스턴스 검색시 인덱스된 데이터가 불규적으로 분산되거나 중복이있을시 , 가장 빠른 결과물을 사용할시
SmallestMailbox
동일한 작업을 수행해도 완료시간을 동일하게 보장할수 없음으로
덜바쁜 노드에게 우선으로 일을 주는방식
TailChopping
기본적으로 랜덤 라우터이나, 최적 응답시간내에 반응못하면(5s)
마지막까지 처리는 하지만~ 특정노드를 잠시쉬게 하는 전략
> GC를 제대로 할 시간을 주지 못할때 해당 노드는 GC를 계속 시도하느라 CPU를 점유해서 뻗을수 있습니다. 이때 빈도가 특정노드중 일부이며 잠쉬 쉬면 정상화가 될수도 있다란 측정이 가능 했을때 활용가능합니다.
추가정보
https://github.com/reactive-streams
- https://github.com/akka/reactive-kafka
- https://blog.knoldus.com/2017/06/18/when-akka-stream-meets-rabbitmq/
여러 업체및 진영( Java/C#/SCALA/JS등 )에서 네트워크상의 비동기처리를 비롯하여 이와 관련한 문제에대해
공통적으로 고민하기 시작하였으며, 표준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reactive-streams 활동으로 이어집니다.
akka를 비롯하여 위에서 언급한 stream처리가 필요한 플래폼들은 이 활동에 영향을 주거나/받았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표준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것은 어떠한 구현체가 아니라, 구현을 위한 약속된 스펙입니다.
서로 다른 스트리밍구현이 상호운영이될수 있도록하는것이 이 프로젝트의 기대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