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sions Compared

Key

  • This line was added.
  • This line was removed.
  • Formatting was changed.

...

Note

액터모델이 국내에 개발패턴으로 잘 안알려져 있기도하고 레퍼런스가 부족하지만 이미 성공한 메시징/메신저/통신 테크기업들이 액터모델을 직접 채택하거나 액터모델이 내재화된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이 기술을 단지 학습곡선때문에 제외할것이냐? 학습곡선이 높을수 있지만 우리가 필요로하는 스팩이여서 연마가 필요한것인가? 그것을 책임지는 기술팀이 판단해야하는 영역입니다.

학습도에따라 액터모델이 우리에게 고통을 줄수도 있습니다. 액터모델 프로그래밍을 할필요없는 Reactive진영의 우수한 클라우드형 MQ PasS를 채택할수도 있겠지만 ( 트래픽당 클라우드 비용을 잘 계산해야함 )

직접구현 개발모델을 선택한다고 하면  스레드 모델과 비교할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