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History
...
draw.io Board Diagram | ||||||||||||||||||||
---|---|---|---|---|---|---|---|---|---|---|---|---|---|---|---|---|---|---|---|---|
|
- 모놀리식으로 구성되고 단일로 작동시키면서 단일 로컬장치에서 분산처리 설계를 할수 있습니다. - StandAlone
- 단일 개발장치에서 클러스터를 구성해~ 클러스터 모드로 작동확인을 할수 있습니다. - MultiNode
- StandAlone의 구현코드와 분산처리 되는 Cluster구성시 구현코드가 모두동일하며 , 클러스터로 분산작동되어도 하나의 모놀리식 시스템인것처럼 작동되는것처럼 보일수 있는것이 Akka 클러스터가 추구하는 단일지점 병목없는 복잡한 도메인을 처리할시 복잡성을 단순화하는 Akka클러스터의 최종 골입니다.
SpringBoot에 AkkaCluster 탑재하기
...
스프링부터 API레벨에서 액터모델을 활용하는 개발 style이 다소 불편해 보일수 있지만~ 다양한 외부장치를 혼합해 분산처리를 하려는 패턴보다 더 심플해질수 있습니다.
메시지 브로커에서 일반적으로 지원하는 pub/sub 방식도 akka내부에서 지원하며 여기서는 설명이 생략되었으나~
swagger및 샘플클라이언트를 통해 유닛테스트및 기능작동 확인을 할수 있습니다.
분산처리 PUBSUB
- SSE(Simple Sent Event)를 이용해 구독(sub)을 하고
- API 액터모델을 이용해 발행(pub)을 할수 있습니다.
...
- API 액터모델을 이용해 발행(pub)을 할수 있습니다.
메시지 브로커에서 일반적으로 지원하는 pub/sub 방식도 akka가 지원하는 분산처리 장치중 하나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이 생략되었으나~
아래 코드를 통해 샘플클라이언트를 통해 기능작동 확인을 할수 있으며 유닛테스트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Refrence :